GT상사 일상(174)
-
허리 통증 원인 및 치료 방법
신체에서 허리는 상체와 하체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죠? 살면서 허리 통증을 경험해 보지 않은 분이 있을까요? 성인들이 감기 다음으로 흔하게 겪는 질환이 요통이라고 할 정도로 흔한데요. 오늘은 허리 통증 완화 방법을 알아볼게요. 허리의 구조 1. 요추 : 허리의 요추는 다섯 개의 척추뼈가 하나씩 다른 뼈 위에 차곡차곡 쌓여 있는 구조입니다. 척추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디스크 ( 추간판 ) : 요추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합니다. 3. 근육 : 요추를 구부리거나 회전 등을 할 때 붙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서거나 걷기 그리고 물건을 드는 것이 가능합니다. 4. 인대 : 요추 뼈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5. 신경 : 요추..
2021.10.26 -
속쓰림 원인 및 증상, 대처방법
식사 후에 또는 잠들기 전에 속쓰림 때문에 불편한 적이 있나요? 대부분의 속쓰림은 위산 때문인데요. 그러나 그 외에도 다양한 원인들이 있고요. 속쓰림 증상도 여러 가지이죠. 오늘은 속쓰림 증상의 원인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우리가 그냥 속이 쓰리다고 하지만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콕콕 쑤시는 느낌, 따끔거리거나 아린 느낌, 속타는 느낌이나 신물이 올라오는 등 다양한데요. 가장 일반적인 속 쓰림 원인을 몇 가지로 분류해 볼게요. 속쓰림 원인 1. 음식과 약제 맵고 짠 음식, 커피, 탄산음료, 신과일은 위점막을 자극하고 위 운동기능에 변화를 일으켜서 속쓰림 증상이 나타나고요. 아스피린, 소염제, 항생제를 복용하면서 위염, 궤양, 위출혈 등이 발생해 속쓰림 원인이 되기도 하죠. 2. 기능..
2021.10.20 -
숨 쉴때마다 가슴통증! 그 원인은?
숨쉴때 가슴 통증이 느껴지는 경험을 해보셨나요? 오늘은 심장, 폐, 위 식도에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의 원인 질환을 알아볼게요. 참고해 보세요. 심장 질환 가슴에 통증이 있으면 먼저 심장의 문제가 아닌지 걱정을 하게 되는데요. 심장질환도 심장으로 가는 혈류의 감소로 인한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을 둘러싼 주머니에 염증이 생긴 심낭염 등 다양한 데요. 1. 심근경색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혈전 등으로 갑작스럽게 완전히 막혀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심장 근육이 죽어가는 질환이죠.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1/3은 병원에 도착하기 이전에 사망하고요. 심근경색증 환자의 50% 이상은 평소에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갑자기 발생해서 더 위험해요. 증상은 예전에 경..
2021.10.19 -
파상풍 증상 및 주의할점
파상풍(Tetanus) 토양이나 분변에 있는 파상풍을 일으키는 박테리아균이 피부나 점막의 상처에 침입해 발생합니다. 파상풍균이 만들어낸 독소가 신경 이상을 유발하는데 원인균인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tetani)은 흙에 존재하고, 동물이나 사람의 대변에서 발견되기도 합니다. ▶ 녹슨 못에 찔림 ▶ 동물에 물려 감염 ▶ 넘어져서 상처가 났을 때 ▶ 피어싱이나 문신을 했을 때 ▶ 곤충에 쏘였을 때 감염 일반적으로는 기르는 개나 고양이에게 물리거나 할퀴어서, 그리고 피어싱, 문신, 녹슨 못에 찔리는 등으로 상처가 났을 때, 발생하게 되는 거죠. 그럼 감염이 되면 증상은 어떻게 나타날까요? 파상풍 증상 파상풍균이 피부로 들어오면 24시간 이하부터 한 달 이상까지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
2021.10.14 -
위드코로나?
정은경 질병 청장이 “11월 둘째 주부터 ‘위드 코로나’를 시작할 수 있다.”라는 뉴스가 떴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처음으로 구체적인 시기를 언급한 건데요. 11월 9일부터 시작이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그동안 전 국민의 70%가 2차 접종을 완료하는 시점을 기준해서 검토한다고 했는데, 이번 달 마지막 주 초에 그 기준에 도달할 수 있을 거라고 해요. 그래서 접종 완료 후 항체 형성기간인 2주가 되는 11월 9일부터 시작할 수 있다는 거죠. ● 접종 완료자 2850만 6355만 명 (7일 기준) ▶ 1차 접종률 77.6% ▶ 2차까지 접종 완료자 55.5% 물론 확정적인 시행을 말한 건 아니어서 전문가와 관련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서 정해질 텐데요. 이전에 밝힌 것처럼 확진..
2021.10.08 -
풍요로운 한가위 보내세요. 202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