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블리딩 현상도 GT상사의 면갈이 강화 및 침투성 표면강화제 등 복구 자재로 해결하세요!

2017. 12. 20. 11:07시공사례/노출 공법 · 침투성표면강화

콘크리트는 기본적으로 시멘트, 물, 골재 등이 혼합되어진 물질입니다. 


콘크리트는 다양한 재료가 혼합된 물질이다



타설된 콘크리트의 물(혼화제 포함), 시멘트, 자갈, 모래 등의 재료들이 비중차이로 재료분리현상이 일어나고 내부의 잉여수가 콘크리트 상부 표면으로 떠오르는 현상을 블리딩(Bleeding)이라고 합니다.



콘크리트의 블리딩 현상은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의 잉여수가 떠오르면서 발생한다



시멘트나 자갈, 모래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가벼운 잉여수(물)가 타설된 콘크리트가 채 굳지 않은 상태에서 분리되는 현상으로 침하균열과 같은 초기 균열을 발생시키고 콘크리트 상부표면을 다공질로 만들어 압축강도가 저하되며, 레이턴스를 유발하여 상하층 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를 저하하게 됩니다. 또한 콘크리트 내부로 통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수밀성 및 내구성도 저하시키는 주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콘크리트 블리딩 현상을 억제하려면 콘크리트의 배합 설계부터 시공시까지 세밀한 관심을 쏟아야 한다



콘크리트는 다양한 재료의 불균질한 혼합물이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블리딩 현상을 완벽하게 통제할 수는 없지만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블리딩 현상을 억제해야 좋은 품질의 콘크리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블리딩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콘크리트 배합설계면의 블리딩 억제대책

  •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블리딩 및 침하가 커지므로 가능한 물/시멘트비를 작게 한다. 이때 물/시멘트비가 감소하면 강도가 증가하지만 유동성이 작아져 타설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단위수량을 작게 하고, 잔골재율은 작업성에 지장이 없고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한다.
  • 표면활성제 및 감수제의 사용은 블리딩 및 침하량을 저감시키는데 효과적이다.
  • 분말도가 큰 시멘트를 사용한다.
  • 허용범위 내에서 미립분이 많은 잔골재 및 비중이 작은 굵은 골재를 선택한다.
  • 굵은 골재는 최대 치수가 큰 것을 선택한다.
시공시 블리딩 억제대책
  • 콘크리트 타설 시 속도를 천천히 한다.
  • 타설 높이를 낮게 한다.
  • 진동이 과도하면 블리딩이 많아지므로 과도한 다짐을 피한다.
  • 다짐이 불충분한 경우 블리딩에 의한 침하균열이 발생하므로, 필요한 만큼만 다짐한다.
  • 기온이 낮으면 블리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지나친 저온에서의 타설을 지양한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콘크리트 블리딩 현상이 이미 발생한 콘크리트 바닥은, 적절한 보수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동해입은 콘크리트나 블리딩 현상이 발생한 콘크리트에는 면갈이 후 강화하는 방법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동해나 블리딩현상으로 면이 고르지 못한 콘크리트 표면


면갈이 강화는 표면이 분리되거나 골재가 드러나고 균열이 발생한 상대적으로 연약한 콘크리트의 상부를(표면 레이턴스 포함) 연삭하여 제거하고 적절히 보수한 후, 침투성 표면 강화제를 도포하여 조밀하지 못한 콘크리트의 조직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GT상사의 콘크리트 연삭장비 토네이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클릭



골재가 드러나고 표면이 분리되는 콘크리트 바닥을 적절히 보수하고 꼼꼼히 연삭해야 한다



GT상사의 면갈이용 다이아몬드 메탈날 / PCD날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클릭



GT상사의 침투성 표면강화제 에코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조직을 조밀화하여 표면강도를 증대시킨다



GT상사의 침투성 표면강화제 에코크리트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클릭



GT상사의 콘크리트 보수재 애니콘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 클릭





GT상사는 동해입은 콘크리트 바닥이나 블리딩 현상으로 피해입은 콘크리트 바닥을 복구하고 보수하는데 매우 적합한 솔루션을 제안해 드립니다. 필요한 자재의 공급과 자세한 설명, 그리고 시공문의까지 언제든지 저희 GT상사로 연락주세요!



콘크리트 면갈이 강화용 자재 및 시공 문의

GT상사 042-625-8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