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1. 2. 15:52ㆍGT상사 일상
캔커피나 참치 통조림, 콜라 등 캔 속에 든 음식물을 먹을 때 따서 바로 먹지 말고,
2 ~ 5분정도 기다렸다가 먹어야 한다는 사실 알고있으셨나요?
바로 식품을 가열할 때 생기는 '퓨란'이라는 물질 때문인데요.
국제암기구(IARC)는 퓨란을 그룹 2B에 속하는 발암 우려물질로 분류했어요.
그룹 2B는 동물실험에서는 발암물질임이 확인됐지만, 사람에게는 아직 불확실한 상태일 때 사용하는 등급이에요.
아직 발암물질은 아니지만 신경 쓰이겠죠?
퓨란 (Furan)
한국식품안전연구원
퓨란은 무색, 휘발성의 액체이며 5 원자 방향족 헤테로 고리 화합물로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의 조리과정이나 식품 제조·가공 중 가열처리 시에 자연스럽게 생성되며 커피, 빵, 조리된 가금류, 카제인나트륨, 콩 및 통·병조림 식품 등의 가열처리 제품에서 주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 오염물질에 대한 과학적 분석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식품 중에 잔존하는 퓨란을 검출하게 되었다. |
퓨란은 당과 단백질인 아미노산에 열을 가하면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만들어지는 물질이에요.
끓는점은 31℃
고휘발성 유기물질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요리를 하거나 가공식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거의 날아가버려 별로 문제가 되지 않아요.
그런데 육류 통조림이나 음료수 캔 그리고 병, 캔에 들어 있는
이유식, 참치 통조림 같은 것은 날아가지 못하게
밀봉을 하기 때문에 퓨란이 저장될 수 있다는 거예요.
다행히도 국내에서 퓨란을 줄이는 기술이 개발되어서
호박죽, 커피, 토마토 주스 등에 적용하는 업체도 있는 것 같은데요.
소비자들이 그런 제품인지 식별하기도 어렵고 일일이 확인하고 먹기도 어렵죠?
그래서 권장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캔을 따서 바로 먹지 말고 2~5분 정도
기다렸다가 먹는 것이 안전하다는 거예요.
퓨란이 휘발성이 강하다는 특징을 활용하는 거죠.
캔이나 병뚜껑을 딴 후, 뚜껑을 덮지 않은 냄비 같은 곳에서
재가열하면 노출을 약 15~30% 감소할 수 있다고 해요.
이런 것이 걱정되면 더 좋은 방법은 통조림, 병 속에 밀봉된 음식보다는
섬유질이 많은 곡물, 과일 및 채소가 풍부한, 캔에 들어 있지 않은
다양한 식품을 더 많이 먹는 것이 좋겠죠.
오늘은 발암 우려물질인 퓨란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대부분 생소하셨을 것 같은데요.
우리가 일상적으로 먹는 캔이나 통조림 등에 있는 물질이어서 조금씩 쌓이게 되면 좋지 않겠죠?
'GT상사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유도제와 수면제의 차이점? (0) | 2020.11.04 |
---|---|
성장 호르몬 주사 누가 맞아야 할까? (0) | 2020.11.03 |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쇼크? (0) | 2020.10.31 |
간접흡연 NO! (0) | 2020.10.30 |
귀가 먹먹할때 (0) | 202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