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히스타민제 부작용
항히스타민제?
히스타민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신체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입니다.
몸에 해로운 물질이 들어오면 면역반응으로 히스타민이 분비되는 거죠.
하지만 히스타민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분비되면 몸에 나쁜 물질이 아닌데도 세균이라 오해하여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과다 분비된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게 되는데요.
피부의 가려움증, 위산분비가 증가되거나 땀이나 기관지 분비물이 과도하게 나오게 되는 거죠.
이렇게 염증반응이 심하거나 가려움, 콧물 등이 심하게 나오면 항히스타민제로
히스타민 수용체가 활성화되는 것을 억제해서 증상을 완화하게 합니다.
히스타민 4가지 수용체 ① H1, 피부 자극에 의한 가려움증에 관여 ② H2, 위산분비가 증가 ③ H3,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에 영향 ④ H4, 염증 반응과 세포분화에 관여 |
히스타민 수용체를 억제해 증상을 완화하는 항히스타민제는 전문의약품이기 때문에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야 하는 약인데요.
내과, 피부과, 가정의학과 등에서 알레르기성 피부 증상에 주로 처방됩니다.
알레르기 비염 외에도 소양성 피부질환(습진, 피부염), 재채기, 코 가려움증, 콧물에 사용되기 때문에
일상에서 자주 활용되는 약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는 약제별로 허가사항이 조금씩 달라서 병원에서는 적응증에 맞는 약제를 선택해서 처방하게 되죠.
항히스타민제 분류
항히스타민제는 항히스타민제는 1세대부터 3세대까지 개발되어 있는데요.
혈액뇌관문이(BBB)라는 문을 통과해서 뇌로 전달될 수 있느냐에 따라서 1세대와 2·3세대로 나뉘죠.
1세대 항히스타민제
약물 성분의 분자 크기가 작고 지용성으로 혈액뇌관문을 통과해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데요.
분자 크기가 작아 복용 후 30분~1시간 사이 빠르게 효과가 나타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졸음을 유발하는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또한 빠른 효과만큼 지속시간은 4~6시간에 불과해 알레르기 증상이 심할 경우 하루 3~4회 약을 계속 먹어야 하죠.
주요 성분은 '클로르페니라민(Chlorpheniramine)'과 ‘트리프롤리딘(triprolidine)’ 이 있습니다.
졸음을 많이 유발하는 부작용 때문에 잠들기 전 복용하는 것이 좋아요.
이런 특징을 활용해 수면유도제로 쓰이기도 합니다.
질병관리본부 자료
2-3세대 항히스타민제
약물 성분의 분자 크기가 크고 수용성이어서 혈액뇌관문을 통과하지 못하게 만들어
1세대의 부작용인 졸음 유발 부작용을 크게 줄였는데요.
졸음이 아예 오지 않는 건 아지만 졸린 정도를 줄인 거죠.
약물의 종류에 따라 졸린 정도가 다른데요. 덜 졸릴수록 알레르기 완화 효과는 약한 편이라고 해요.
항히스타민제를 먹어야 하는데 운전을 해야 하면 덜 졸린 약제를 골라서 먹는 것도 방법이죠.
2·3세대의 약효 지속시간은 12~24시간으로 1세대보다 증가해서 하루 1~2회 복용이면 되고요.
세대가 올라갈수록 졸림이나 간독성이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가려움을 없애주는 효과에서는 1세대 약물들이 더 월등해서,
단기간은 1세대 약물을 쓰다가 유지 용법으로 2·3세대로 바꾸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형가원]
세대구분 | 성분 |
1세대 | Chlorpheniramine, Clemastine, Dimenhydrinate, Hydroxyzine, Mequitazine, Piprinhydrinate |
2세대 | Azelastine, Cetirizine, Ebastine, Epinastine, Fexofenadine, Levocetirizine, Loratadine, Mizolastine,Oxatomide, *Bepotastine, *Olopatadine, *Pemirolast ✽ *표시한 3가지 성분은 Pharmacokinetic Profile을 고려하여 2세대에 포함 |
항히스타민제 주의할 점
1. 다른 제제와 병용과 장기 사용
항히스타민제는 기본적인 작용 기전이 모두 H1 수용체에 대한 길항 작용기전을 갖고 있기 때문에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약제를 투여해도 단독 투여에 비해 효과가 뚜렷하다는 근거가 없다고 해요.
과량 사용할 경우 시 중추신경계 억제 및 녹내장, 전립선 비대 등 부작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병용투여는 피하는 것이 좋고요. 항히스타민제를 장기 사용할 경우 효과가 떨어지는 내성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장기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해요.
다른 성분의 항히스타민제로 바꾸어도 작용 기전이 거의 비슷해서 하나의 약물에 내성이 생기면
다른 약물에도 내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운전이나 기계조작
항히스타민제의 가장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부작용은 졸음인데요.
이를 개선해서 2-3세대 항히스타민제가 나왔지만 완전하게 졸음이 안 오는 게 아니고,
개인에 따라서 졸음이 발생할 수 있어서 운전 등 정밀한 기계조작 시에는 주의해야 하죠.
술을 마시거나 다른 중추신경계 억제제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엔 졸음의 위험은 더욱 증가할 수 있어서 조심해야 해요.
3. 이상반응 주의
심장박동 이상, 목 안쪽의 염증 등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고요.
이 외에도 위장장애, 소화불량, 갈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도록 하세요.
항히스타민제는 항부정맥제·항진균제와 함께 복용하면 각각 심실성 부정맥과 항히스타민제의 체내 농도 증가를 유발할 수 있고요.
항히스타민 성분이 감기약 등 여러 약에 함께 포함된 경우가 많아서
중복해서 먹는 건 아닌지 복용 전 의·약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임산부, 수유부
임산부와 태아 그리고 6세 미만의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아요.
그래서 대부분의 항히스타민제는 임산부에게 투여를 금하고 있고요.
모유를 통해 약이 영아에게 전해진다는 결과가 있어서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수유하지 않아야 하죠.
6세 미만 소아에게는 투여하지 않지만 일부 항히스타민제는 6세 미만의 소아에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해요.
필요시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항히스타민제의 폐기방법
싱크대, 변기 또는 쓰레기통에 버릴 경우 환경으로 유입되어 하천 등에 잔류할 수 있어서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오래된 제품은 가까운 약국에 비치된 ‘폐의약품 수거함’에 넣어 수거 처리해야 합니다.
식약처에서 허가한 항히스타민제 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신고)한 항히스타민제에 대한 정보는
'엔이드럭' 사이트(https://nedrug.mfds.go.kr → 의약품 검색)에서 검색 가능합니다.
오늘은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소양성 피부질환(습진, 피부염) 등에 사용되어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약제인 항히스타민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호수옆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