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 눈 떨림 증상?
어쩌다 한 번씩 한쪽 눈 떨림이 있지는 않으신가요?
대게 양쪽 눈이 아니고 한쪽 눈 위나 아래에 떨림이 있는데요.
보통은 한동안 떨리다가 시간이 좀 지나면 없어집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중풍(뇌졸중)전조 아닐까 신경이 쓰이기 마련이죠.
오늘은 한쪽눈떨림의 원인에 대해 알아볼게요.
대부분의 경우는 뇌졸중의 증상이 아니라고 해요.
눈꺼풀 근육의 잔떨림은 "안검근파동'이라고 해서 특별한 원인이 없이 스트레스, 피로, 과도한 컴퓨터 사용,
또는 지나친 음주나 카페인 섭취 때문일 수 있어요.
그리고 몸에 필요한 영양소 특히 마그네슘 부족하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며칠간 무리하지 않고 잘 먹고 쉬면 사라지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다고 해요.
저도 마그네슘을 며칠 먹으면서 좀 쉬면 없어지더군요.
마그네슘 부족?
성인 몸에는 약 25g의 마그네슘이 있는데요.
대부분의 마그네슘이 세포 내부 또는 뼈 안에(50~60%) 있고 나머지 대부분은 연조직에,
혈청에는 총 마그네슘의 1% 미만이 들어있다고 해요.
마그네슘의 역할은 단백질 합성, 근육과 신경 기능, 혈당 조절, 혈압 조절 등 체내 다양한 생화학적 반응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데요. 혈청 마그네슘 수치가 낮은 여성이 골다공증이 더 많다고 하죠. 그래서 칼슘영양제에 마그네슘이 포함된 게 많아요.
마그네슘 결핍이 심하면 한쪽 눈 떨림이나 눈 밑 떨림이 생기고 마비, 따끔 거림, 근육 수축 및 경련,
발작, 성격 변화,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 및 관상 동맥 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해요.
기운이 없고 피로하고 화를 잘 내며 근육에 쥐가 잘나고요.
그 외에도 편두통, 숨이 차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고 소리에 민감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어요.
아까 한쪽눈떨림이 있을 때 잘 먹고 쉬면 된다고 했는데요. 마그네슘이 들어 있는 식품을 먹으면 도움이 되죠.
시금치, 콩가루, 견과류, 씨앗 그리고 통곡물과 같은 녹색 잎이 많은 야채들은 좋은 공급원이고요.
식이 섬유를 함유한 음식들과 해산물, 살코기 및 가금류, 계란, 콩류 (콩 및 완두콩), 견과류, 다양한 단백질 식품에도 있어요.
그러나 포화 지방과 트랜스 지방, 첨가된 설탕 및 나트륨은 오히려 마그네슘 보충을 방해하는 것들이죠.
이런 걸 잘 챙겨드시기 힘드시면 마그네슘이 들어 있는 영양제를 드시는 것도 방법일 수 있고요.
그런데 이렇게 가볍게 한쪽눈떨림에 대응하면 되지만 주의해야 할 증상들도 있어요.
특별한 원인으로?
한쪽 얼굴이 떨리는'반측 얼굴연축'이라는 눈 주위의 근육이 불규칙하게 떨리는 증상이 그런데요.
이 증상은 40,50대 중년층에 잘 나타나고요. 심하면 한쪽 눈이 감기기도 하고 입이 한쪽으로 딸려 올라가는 증상을 보이기도 하죠.
원인은 안면신경이나 뇌의 일부분이 혈관에 눌려서 생기는 증상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증상은 한쪽의 얼굴의 눈 주위의 근육에서 떨림이 시작돼서 나중에는 다른 얼굴 근육도 떨리게 되고,
이런 현상이 지속적이 된다고 해요.
또 다발성 경화증이나 뇌종양 뇌졸중으로 얼굴 근육이 떨릴 수도 있어요.
물론 이런 한쪽눈떨림은 일시적이 아니고 다른 증상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인데요.
지속적으로 안면근육이 떨리고 어지럼증이나 물체가 두 개로 보이거나 마비 증상이 있을 수 있어요.
이런 경우는 병원에 가봐야 해요.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서 적절한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죠.
그러니까 정리하면 눈꺼풀 근육 잔떨림같은 경우는 카페인이나 스트레스를 줄이고
좀 쉬면서 마그네슘 같은 영양소를 보충하면 되고요.
늘 건강에만 신경 쓰고 살 순 없지만 기왕이면 좋은 자세와 몸에 좋은 음식을 드시는 것이 좋겠지요?
스트레칭도 가끔 해주시고요.
우리가 하는 작은 행동이나 습관들이 결국 우리의 건강에 영향을 주니까 관심을 갖는 건 필요합니다.
호수옆길